본문 바로가기
중국 드론 산업

2025년 중국 드론 기업, 글로벌 진출 현황

by 2hlinternational 2025. 3. 13.

중국 드론 기업들은 빠른 기술 발전과 적극적인 해외 시장 확장을 통해 글로벌 드론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DJI를 비롯한 중국의 주요 드론 기업들은 산업용, 군사용, 소비자용 드론 시장을 선도하며 북미, 유럽, 아시아, 중동 등 다양한 지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중국 드론 기업들의 해외 진출 현황과 주요 전략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중국 이항 드론 택시
중국 이항 드론택시

1. DJI, 글로벌 드론 시장의 절대 강자

중국 드론 기업 중 가장 유명한 회사는 단연 DJI(다장 혁신, 大疆创新)입니다. DJI는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소비자용 드론뿐만 아니라 산업용 및 전문가용 드론 분야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2025년 DJI의 글로벌 전략:

  • 북미 시장: 미국과의 무역 갈등 속에서도 DJI는 고급 드론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헐리우드 영화 촬영, 부동산, 건설, 농업 등의 분야에서 DJI의 드론이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 유럽 시장: 유럽연합(EU)의 새로운 드론 규제가 시행되면서, DJI는 유럽 내 인증을 획득하고, 친환경 드론 및 AI 기반 자율비행 기술을 적극 홍보하고 있습니다.
  • 신흥 시장: 인도, 중동, 아프리카 등의 시장에서도 DJI의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특히 산업용 드론을 활용한 인프라 점검, 농업 자동화, 보안 감시 등의 분야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DJI는 미국 정부의 견제로 인해 일부 정부 기관에서 사용이 제한되는 등의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DJI는 자체 보안 기술을 강화하고, 미국 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2. 이항(Ehang), 드론 택시의 선두주자

이항(Ehang, 亿航)은 중국의 대표적인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승객을 태울 수 있는 드론 택시를 개발한 회사입니다. 2025년 현재, 이항은 중국 내에서 드론 택시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해외 여러 도시에서도 테스트 비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항의 글로벌 진출 전략:

  • 중동 및 아시아: 두바이, 싱가포르, 일본 등에서 드론 택시 시범 운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두바이 정부는 2025년부터 드론 택시를 상용화할 계획이며, 이항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습니다.
  • 유럽: 독일,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는 도심 내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드론 택시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항의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미국: FAA(미국 연방항공청)의 규제 문제로 인해 상업 운행이 어렵지만, 테스트 비행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입니다.

이항은 2025년 안에 완전한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의 드론 택시 운영 기업이 되기 위해 기술 개발과 규제 대응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3. 중국 산업용 드론 기업들의 해외 시장 공략

DJI와 이항 외에도, 중국에는 다양한 산업용 드론 기업들이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습니다.

  • JOUAV(九奥科技): 측량 및 매핑(지도 제작) 드론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기업으로, 아프리카 및 남미 시장에서 인프라 점검 및 농업 관리 분야에서 성장 중입니다.
  • XAG(极飞科技): 농업용 드론 시장에서 강자로 떠오르고 있으며, 유럽과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스마트 농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Yuneec(昊翔): 항공 촬영 및 산업용 드론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며, 특히 유럽 및 미국의 응급 구조 및 소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2025년 현재, 친환경 에너지, AI 기반 자율비행, 장거리 비행 기술 등을 접목한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4. 중국 드론 기업의 해외 진출 과제

중국 드론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몇 가지 도전 과제도 존재합니다.

  • 미국 및 서방 국가의 규제
    • 미국 정부는 DJI를 포함한 중국 드론 기업들이 보안 위협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정부 기관에서는 중국산 드론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유럽에서도 데이터 보안 문제와 관련하여 중국 드론 기업들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입니다.
  • 현지 법규 및 인증 문제
    • 각국의 드론 관련 법규가 다르기 때문에, 중국 기업들은 각 지역의 인증을 획득하고 규제를 준수해야 합니다.
    • 특히 미국의 FAA, 유럽연합(EASA), 인도의 DGCA 등 주요 항공 당국의 승인을 받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현지 기업과의 경쟁
    • 미국의 Skydio, 프랑스의 Parrot, 이스라엘의 Airobotics 등 각국의 드론 기업들도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 이에 맞서 중국 기업들은 기술 혁신, 가격 경쟁력, 애프터서비스 강화 등의 전략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결론

2025년 현재, 중국 드론 기업들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DJI는 세계 드론 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고 있으며, 이항은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산업용 드론 기업들이 해외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및 서방 국가들의 규제, 현지 법규 및 인증 문제, 경쟁 기업들의 도전 등 여러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중국 드론 기업들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글로벌 전략을 통해 시장을 선도할 가능성이 큽니다. 향후 중국 드론 산업이 어떻게 발전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 드론 택배 운송
중국 택배 시장 드론 배송